dsp (3) 썸네일형 리스트형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음성의 생성과 인지) Speech Chain speech coding이나 speech recogntion등의 speech를 처리하는 실질적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제로 인간이 어떻게 speech를 통해 서로 communication하는지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결국 우리는 인간이 하는 음성의 인식과정을 기계가 모사하도록 만들고싶기 때문이다. 우리가 말하고 그 말을 듣고 이해하는 과정을 알아보도록 하자. 음성이 생성되어 전달되는 과정을 네트워크의 5계층처럼 단계별로 나누어 표현할 수 있겠다. Linguistic level: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표현하기 위해서 어떤 sound로 말을 할지 basic sound를 선택하는 레벨 Physiological level : vocal tract의 구성요소들이 언어학적 발화..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와 Spectrogram의 python구현과 의미 음성신호처리에서 아주 기본적인 feature로 spectrogram이 존재한다. spectrogram을 많이 쓰지만 왜 짧은 시간으로 나눠서 Fourier transform을 하는 지에 대해 생각하지 않고 쓰는 경우가 많다. Python에서 함수 한 줄로 구할 수 있는 spectrogram의 구현을 먼저 알아보고 후에 그 의미도 알아보자. STFT 와 Spectrogram python 구현 Spectrogram은 위와 같은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x축은 시간 축(단위: frame), y축은 주파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각 시간당 주파수가 가지는 값을 값의 크기에 따라 색으로 표현하여 3차원을 2차원으로 표현하게 된다. 즉, 시간의 흐름을 가지는 푸리에 변환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각각의 frame(짧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와 Circular Convolution DSP를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DFT는 무엇인가? DTFT와 무엇이 다른가? 여러 궁금증에 앞서 DFT를 이해하기에 앞서 일단 식부터 살펴보고 시작하겠다. x[n]이라는 유한한 길이의 음성신호가 존재할 때, 각주파수(오메가)를 N개로 쪼갠 후 k번째 주파수에 해당하는 변환 값을 찾아내는 것이 DFT결과가 된다. 식을 먼저 소개했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설명들을 통해 차근차근 알아보도록하자. 왜 DFT를 하는가? 컴퓨터는 이산적인 값만 처리가 가능하다. 연속시간신호는 시간축(x축)에서 연속적이기 때문에 샘플링을 하여 이산시간 신호를 만들어야한다. 이와 같은 논리로, 이산시간신호에 대한 주파수변환인 DTFT결과를 확인.. 이전 1 다음